Skip Navigation
Skip to contents

한국자동차공학회


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춘계학술대회 : KASE 2019 Annual Conference & Exhibition
  • 일시 : 2019년 11월 20일(수) ~ 23일(토)
  • 장소 : 경주화백컨벤션센터(HICO)
Today
2025.07.15 D - 0

신진과학자세션

Home > 프로그램 > 신진과학자세션

프로그램
일시
5월 24일(수) 14:00-15:40
장소
5강연장(평창홀3)
주관
한국자동차공학회

사회자 : 박성진 교수(홍익대학교)
14:00-14:30 결함이 있는 셀이 포함된 배터리 팩의 셀 연결 구조에 대한 성능 및 수명 분석 연구 김홍근 교수
(인하대학교)
14:30-15:00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의 개발 및 당면과제 박현욱 선임연구원
(한국자동차연구원)
15:00-15:30 내연기관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분자구조의 연료 소개 및 연소 특성 비교 송화섭 교수
(금오공과대학교)

연사소개


김홍근 교수 김홍근 교수ㅣ인하대학교
김홍근 교수는 2011년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에서 학사학위를,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각각 2013년, 2018년에 받았습니다. 박사과정 이후에는 미국 Argonne 국립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전고체 전해질 및 전지 모델개발, 급속충전 프로토콜 개발, 머신러닝-물리모델 기반 성능/수명 예측과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연구를 수행했습니다. 2021년 9월부터는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에 조교수로 부임하여 다중물리모델을 이용한 배터리 시뮬레이션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주 연구분야는 배터리의 전극레벨부터 셀레벨까지의 단일 배터리부터 모듈, 팩, 전기자동차의 시스템레벨까지 최적 설계, 운영 및 불량진단과 관련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특히, 물리기반 모델 및 머신러닝 기법을 동시 활용한 방법으로 배터리 건강관리 및 급속충전 프로토콜 개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박현욱 선임연구원 박현욱 선임연구원ㅣ한국자동차연구원
박현욱 선임은 2015년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항공우주공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습니다. 이후 동일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각각 2017년, 2022년에 받았으며 학위과정 동안 구조전지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. 구조전지 연구와 관련하여 국방과학연구소, 항공우주연구원, 현대자동차 등 다수의 기관과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해당 주제로 국제학술대회인 11th Asian-Australasian Conference on Composite Materials에서 Best poster awards를 수상하였습니다. 2022년 박사 졸업 이후에는 LG에너지솔루션에서 pure Si전지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, 2022년 한국자동차연구원 신뢰성기술부문에 임용되어 배터리 신뢰성/고장물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송화섭 교수 송화섭 교수ㅣ금오공과대학교
송화섭 교수는 2010년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에서 학사학위를, 동 대학원에서 2013년과 2017년 석사 및 박사학위를 각각 받았습니다. 박사학위과정을 마친 후 프랑스 릴 대학교 화학부 산하 Laboratoire PC2A에서 3년여 간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였으며, 이 기간 중 세계적 에너지 기업인 프랑스 Total Energies 및 Hauts-de-France 주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경주용 고성능 엔진에 적합한 고옥탄 연료 및 다양한 저탄소 연료의 자발화 특성에 관해 연구하고 주요 연구결과를 연소분야 국제우수학술지인 Combustion and Flame, Proceedings of the Combustion Institute, Fuel 등에 게재하였습니다. 2021년 3월부터 금오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교수로 재직중이며, 주요 연구관심분야는 e-fuel 및 바이오연료 등에 대한 기초 연소 특성 관련 실험과 분자 구조 기반 연소 특성 예측 및 상세 화학반응 모델 개발, 그리고 탄소 전주기 분석입니다.

Top


한국자동차공학회 사무국
06212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52길 21, 13층 (역삼동, 파라다이스벤처타워) 한국자동차공학회